민족분쟁

21세기 분쟁의 화약고 카프카즈 민족

frog.ko 2020. 10. 10. 10:34

카프카즈는 터어키 북서쪽, 흑해(Black Sea)와 카스피해(Caspian Sea)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3000m 내지 5000m 되는 험한 산들로 형성된 카프카즈 산맥이 그 중앙을 가로 지르고 있다.

 

카프카즈는 카프카즈산맥을 축으로 북부 지역이 북카프카즈 남부 지역은 트랜스카프카즈(Transcaucasus)라고 일컬어진다. 북카프카즈는 러시아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종족들로 구성된 여러 자치공화국들이 자리잡고 있다.

 

카스피해 연안에서부터 흑해 연안까지 위치한 순서대로 보면 다게스탄 (Dagestan) 자치공화국체첸(Chechen) 자치공화국, 잉귀쉬(Inguish) 자치공화국, ()오세티아(North Ossetia) 자치공화국카바르디노-발카르(Kabardino- Balkar)자치공화국,까라차이-체르케스(Karachay-Cherkes) 자치공화, 아디게(Adygey) 자치공화국,등이 있으며 카스 피해 북단에 칼묵(Kalmyk) 자치공화국이 있다.

 

트랜스카프카즈에는 과거 구소련 연방이 붕괴되면서 독립한 인구 750만명의 아제르바이 잔(Azerbaijan)520만명의 그루지아(Georgia), 350만명의 아르메니아 (Armenia) 세 국가가 있다.

 

그리고 그루지아 에도 압하즈(Abkhaz)()오세티아 (south Ossetia)등 두개의 자치 공화국이 있다.

 

이러한 공화국들에는 그 나라와 동일한 이름을 가진 종족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할 뿐 아니라 많은 러시아인들과 다수의 다양한 인종들이 혼재되어 살고있다.카프카즈의 언어들은 크게 알타이계(Altaic), 북카프카즈계(North Caucasian) 그리고 인도-유럽계(Indo-European)등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

첫째 알타이어계(Altaic)로서 카프카즈 대표적 언어인 오구즈 튀르크계열 (Turkic-Oghuz) 의 아제리어(Azebaijani)가 있으며, 킵차크착 튀르크계열 (Turkic-Kipchak)로는 쿠믹(Kumik), 까 라차이발카르, 노가이어(Noghai) 등이 있다. 몽골계로는 칼묵어가 유일하다.

 

둘째 북카프카즈어(North Caucasian) 계열중 가장 큰 언어집단은 인구 80만의 체첸(Chechen)이며, 다게스탄(Dagestan)자치공화국은 크게보면 7개의 언어종족으로 구성되는데 약 50만명의 바르(Avar), 28만의 다르긴 (Dargin), 21만의 레즈긴 (Lezgin), 9만의 락츠 (Laks) 그리고 8만의타바사란(Tabasaran)5개 언어가 여기에 속한다. 그 밖에 압하즈, 아디게이, 카바르디노어체르케스어등이 있다.

 

셋째 인도-유럽어(Indo-European)Balto-Slavonic계열의 러시아어(Russian)는 과거 정치적인 영향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러시아 영토인 북카프카즈에서는 절대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그리고 아르메니어(Armenian)도 이 그룹에 속하며,이 그룹중 인도-이란어 (Indo-Iranian)계열에 속하는 언어로는 탈르쉬어 한편 그루지아어(Georgian)하는 또다른 계열의 언어이다.

 

복잡한 카프카즈의 분쟁속에서도 국제 관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두 지역은 북카프카즈 의 체첸과 트랜스카프카즈의 아제르바이잔이다.

 

체첸의 독립 운동은 러시아 연방 전체에 파 급되는 민감한 문제이다. 체첸 문제의 해결 방향이 러시아내 소수 민족들의 독립과 정체성 확립에 결정적 모델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카스피해 석유로 인해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아제르바이잔의 안정적 성장이 카프카즈 전지역과 주변 국가들의 안정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첫째, 국제적인 군사적 요충지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소아시아와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국가들을 연결하는 카프카즈는 위치적으로 범투르크 민족

주의(Pan-Turkism)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셋째, 카프카즈와 이란 관계를 보자.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 원리주의 수출에 거의 실패 한 이란은 그나마 같은 이슬람 시아파 아제르바이잔을 중심으로 어느정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넷째, 카프카즈는 지정학적으로 중동과 동아시아,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고 있다.종교적으로 카프카스는 대부분 이슬람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아제르바이잔을 비롯하여체첸, 잉기쉬, 다게스탄등이 이슬람이 강하다.한편 그루지아, 아르메니아,그리고 일부 오세티아 민족이 기독교권이며 칼묵은 라마불교권이다. 카프카즈에서는 러시아, 아르메니아, 나고르노-카라바, 북아세티아의 러시아 정교 세력과 아제르바이잔, 압하지아, 체첸, 잉기쉬 이슬람 세력이 대결하는 양상을 띠고있다.

 

한편 러시아 정교의 그루지아는 자국내에서 독립 운동을 하는 이슬람 압하지아에 대해 적대적인관계를갖고 있으나 카프카즈 이슬람 종주국 아제르바이잔에 대해서는 경제적 , 정치적인 요소로

 

인해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있는 등 종교적인 차별 정책을 수행하지

않고 있다.

체첸전쟁

체체니아는 카프카즈산맥 북단에 위치한 작은 공화국이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크기만한 영토(19,000)에 겨우 12십만 명에 지나지 않는 인구를 가진 나라이다.체첸인들 대부분은 민족 고유의 체첸어를 사용하는 회교도(수니파)로서 중앙아시아 공화국들과 가까울 뿐만 아니라 인근 회교국들인 터키와 이란과도 가까운 민족이다.

 

카프카스(코카서스)는 러시아의 남부, 카스피 해와 흑해사이의 험준한 산악지역이다. 230여 민족이 심한경우에는 골짜기 하나를 사이에두고 종족도 언어도 다를 정도로 "인종의 전시장"이라고불리운다. 카프카즈의 분쟁은 아주 복잡하고 풀기 어려운 양상을 띠고 있으나 몇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카프카스(코카서스)는 러시아의 남부, 카스피 해와 흑해사이의 험준한 산악지역이다. 230여 민족이 심한경우에는 골짜기 하나를 사이에두고 종족도 언어도 다를 정도로 "인종의 전시장"이라고 불리운다. 카프카즈의 분쟁은 아주 복잡하고 풀기 어려운 양상을 띠고 있으나 몇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카프카즈 민족의 반러시아 저항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으로 인한 슬라브 민족 러시아와의

충돌이다.

둘째는, 기독교(러시아 정교)와 이슬람 세력간의 종교적 대결이며,

셋째는 카프카즈 소수 종족간의 갈등(Ethnic)이다

반러시아 저항운동의 대표주자인 체첸은 러시아와 끊임없는 충돌을 계속하여 왔으며 북카프카즈의 체첸, 잉기쉬 등 이슬람 민족은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고자 200년 전부터 싸워 왔다. 20세기 초 러시아 혁명기에도 체첸 민족과 러시아 간에는 치열한 갈등이 있었으며 러시아의 지배에 저항한 체첸인들은 이를 이슬람 聖戰인 지하드로 규정하고 해방운동을 전개했다.

 

191710월 혁명과 內戰 시기에는 인접 다게스탄과 함께 체천,이슬람공화국을 세우기도 했으며 1930년대 중반 스탈린의 숙청바람으로 체첸,잉기쉬 지역을 중심으로 카프카즈 전역에서 10만 명 이상의 지식인과 간부들이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강제 이주를 당했다.1944년엔 체첸인잉기쉬인 약 50만 명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시켰다.

 

그러나 1957년 흐루시초프의 개혁 노선에 편승한 수피 타리가스(Tariqas)단체의 꾸준한 투쟁으로체첸잉기쉬민족의 명예회복이 되었을 뿐 아니라 1956-57년 사이에는 고향복귀가 이루어졌다이후 추방되었던 잉귀쉬 민족들의 귀환은 이미 땅을 차지한 새 거주자 오세티아인들과의 재산과영토 소유권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현재도 잉귀시와 북오세티아는 영토 갈등이 있다.

 

프리고로드니(Prigorodnyi) 지역은 인구의 약 60%가 잉귀쉬인,나머지는 오세트인과 코삭인으로구성되어 있었다 1992년 영토 반환을 거절하는오세티아에 대해 프리고로드니를 찾기 위해 체첸-잉귀쉬 공화국이 군사적 공세를 취한 것이 었다.199211월 러시아 정교 계열의 오세티아와 이슬람 계열인 잉기쉬 사이에 벌어진 전투에 러시아가 오세티아를 편들며 개입하였다. 이 분쟁 역시 러시아의 개입 그리고 이슬람과 기독교의 반목으로 이루어졌다러시아는 잉귀쉬 한 마을 주민을 완전히 학살하였고 6만여명 이상의 잉귀쉬인들을 추방 하였다.

 

한편 체첸은 19918월 러시아의 三日天下 쿠데타 이후, 10월 체첸의 지도자 조하르 두다예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체첸의 독립을 선언하여 독자적인 행보를 하고 있었다.

 

러시아는 오세티아와 잉귀쉬 분쟁을 시발로 눈의 가시같았던 체첸을 위협하였다.1994년 체첸 사태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러시아의 위협에 체첸과 카프카즈 민족연합 (KNK)의 즉각적인 군사동원이 이루 어졌다.약간의 소강 상태를 가진 후 러시아는 94년 12월 체첸에 전면적인 군사 공격을 퍼붓기 시작했고,참폭한 전쟁은 수많은 인명피해를 내다가 1995125일 러시아는 군사작전의 종결을 발표했으나 전쟁은 게릴라전 양상으로 계속되고 있다.또한 1992차 체첸 전쟁을 유발 시켰다.

 

참고적으로 체첸,잉구시 두 공화국은 동일한 나흐족이나 18세기 말 팽창정책을 폈던 러시아가 카프카즈 정복에 나섯을 때 이들 산악민족들은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격렬하게 저항했다.이 전쟁 당시 동부에 거주하던 나흐족은 러시아에 격렬히 저항한 반면,거주지역 중 서부의 나흐족은 이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다.

 

그 후 러시아인들은 이 두 집단을 각각 다르게 인식하게 되었고, 이로써 이 두집단의 거주지역중 큰 도시의 이름을 따라 동부의 나흐족을 '체첸', 서부의 나흐족을 '잉귀쉬'라 구별하여 부르기시작했다.즉 동일한 민족이지만 러시아에 의해 구분된 것이다.

 

체첸사회의 특징으로 "타이프"라고 하는 것인데 이것은 타이프는 씨족적인 성격을 고수하며 족외혼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이 타이프에는 더 적은 단위로 구성되며, 이것은 10~50호로 이루어지며 씨족 어른로 구성되는 장로회가 있는데, 매우 엄격한 규율이 적용된다.장로들의 모임이자신들의 법에 따라 각 타이프들을 통치한다.

 

이슬람의 유입은 16세기에 다게스탄으로부터 였는데 비교적 서서히 확장되면서 17세기 후반에는완전히 이슬람화되었다. 역사적인 반러시아 경향으로 구소련지역에서 가장 강한 무슬림 집단을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화와 이슬람 수니파의 종교적 결합으로 더욱 투쟁적으로 민족성을 보이며전투적인 성향으로 러시아 최대의 패밀리가 바로 최근 국제사회를 떠들석하게 만들고 있는 체첸마피아(Chechen Mafia)이다.

아제르바이잔어
주요 코카서스 어 계열

'민족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소보 내전  (0) 2020.10.12
38분만에 끝난 전쟁  (0) 2020.10.12
카슈미르 분쟁  (0) 2020.10.10
벨기에의 언어전쟁  (0) 2020.10.10
차코전쟁  (0) 2020.10.10